개발/코딩자율학습단

[코딩자율학습단 13기] 2일차, 리눅스 설치

codesparkling 2025. 3. 15. 18:29

커리큘럼

2장 리눅스 실습 환경 구축하기

2.1 리눅스 실습 환경 구축 방법

PC에 직접 리눅스 설치

하드웨어 위에 바로 리눅스를 설치하며 성능 면에서 가장 좋다. 실제 온프레미스 서버는 리눅스를 바로 설치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학습용으로 PC 한 대를 직접 사와서 리눅스를 설치하기에는 배보다 배꼽이 클 수 있다. (안 쓰는 노트북이 있거나 윈도우에 질렸다면 한 번 설치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긴 하다.)

가상 머신에 리눅스 설치

다른 OS가 있는 상태에서 가상 머신으로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다만 호스트 머신 안에 새로운 PC 하나가 있는 것과 다름이 없어서 하드웨어 성능을 많이 잡아 먹을 수 있다. 컴퓨터가 좋지 않다면 생각을 해봐야 할 것이다.

클라우드 인스턴스로 리눅스 사용

AWS, Azure, NCP, Oracle 등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리눅스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이다. 쉽게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고 테라폼을 사용하면 같은 사양의 인스턴스를 여러 개 준비할 수도 있다. 다만 클라우드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다면 설정해주는 것부터가 어렵기도 하고, 무엇보다 비용이 빠져나가는 것이 큰 문제이다.

2.2 실습: 가상 머신에 리눅스 설치하기

나는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할 예정이라 굳이 가상 머신과 리눅스를 설치하지 않겠다. 그래서 라즈베리파이의 OS인 라즈비안을 설치하는 과정을 작성했다.

Raspberry Pi OS – Raspberry Pi

위 사이트는 라즈베리파이 공식 홈페이지다. Software 탭에 들어가서 Downloads for Windows 를 선택하고 다운 받는다.

이미지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본인이 가진 라즈베리파이 하드웨어의 버전을 찾아서 선택한다. 나는 라즈베리파이 4B라서 두 번째 를 선택하면 된다. 본인의 usb와 sd 카드를 찾아서 꽂아준다. 다음 사진과 같은 형태면 된다.

다음을 누르면 OS 커스터마이징 설정을 할 수 있다.

위처럼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WIFI를 설정해준 뒤, 예를 눌러주면 라즈비안 설치가 끝난다. 그 이후로 SSH 연결 혹은 RDP를 사용해서 윈도우 PC와 연결할 수 있다.

단어 정리

  •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전산실을 운영하며 서버를 관리하는 것